|
경천사 십층석탑의 조성배경

|
|
|

경천사 석탑 기단부의 모습. 기단부와 1층에서 3층까지는 몽골,
티베트계 불교에서 영향 받은 형태, 이후 4층에서 10층까지는 전통적 형태를 보여준다.
티베트계 불교에서 영향 받은 형태, 이후 4층에서 10층까지는 전통적 형태를 보여준다.
|
석탑 전체에 섬세하게 조각되어 있는 불보살이 백미

|

경천사 석탑 탑신부의 모습. 상단부로 올라갈수록 불교에서 높은 위치에 있는 존상들이 새겨져 있다.
|
남 | 서 | 북 | 동 | |
---|---|---|---|---|
4층 | 원통회 | (지장회) | (열반회) | (석가회) |
3층 | 소재회 | 전단서상회 | 능엄회 | 약사회 |
2층 | 화엄회 | 원각회 | 법화회 | 다보불회 |
1층 | 삼세불회 | 영산회 | 용화회 | 미타회 |

경천사 석탑 기단부 중대중석 남동측 남면에 새겨져있는 ‘홍해아’ 장면.
서유기의 등장인물들로 하여금 내부에 안치된 사리를 수호하게 한다는 의미에서 탑의 하단 부분에 배치해 놓은 것으로 사료된다.
서유기의 등장인물들로 하여금 내부에 안치된 사리를 수호하게 한다는 의미에서 탑의 하단 부분에 배치해 놓은 것으로 사료된다.
|

석탑 2층과 3층에 새겨져 있는 불회 장면의 모습. 2층 탑신석 남면 ‘화엄회’(왼쪽)과 3층 탑신석 남면 ‘소재회’(오른쪽)
No comments:
Post a Comment